2009년 10월 14일 수요일

[ MS-DOS - QBasic ] 색속성과 색번호

칼라 출력 모노크롬 출력
 
색속성 내정된 출력되는 내정된 출력되는
색번호(a) 색 색번호 색

화면모드 :: 0, 7, 8, 9(b), 12, 와 13
+-+-+-+-+-+-+-+-+-+-+-+-+-+-+-+-+-+-+-+-+-+-+-+-+-+-+-+-+-+-+-+-+-+-+-+-+-+-
0 0 검정 0(c) Off
1 1 파랑 밑줄(d)
2 2 녹색 1(c) On(d)
3 3 청록 1(c) On(d)
4 4 빨강 1(c) On(d)
5 5 보라 1(c) On(d)
6 6 갈색 1(c) On(d)
7 7 흰색 1(c) On(d)
8 8 회색 0(c) Off
9 9 하늘 밝은 배밝기
밑줄
10 10 연두 2(c) 밝은 배밝기
11 11 옥색 2(c) 밝은 배밝기
12 12 주황 2(c) 밝은 배밝기
13 13 분홍 2(c) 밝은 배밝기
14 14 노랑 2(c) 밝은 배밝기
15 15 밝은 흰색 0(c) Off


0 0 검정 0 Off
1 11 옥색 2 밝은 배밝기
2 13 분홍 2 밝은 배밝기
3 15 밝은흰색 0 Off


SCREEN 모드:: 2 와 11
+-+-+-+-+-+-+-+-+-+-+-+-+-+-+-+-+-+-+-+-+-+-+-+-+-+-+-+-+-+-+-+-+-+-+-+-+-+-
0 0 검정 0 Off
1 15 밝은흰색 0 Off


(a) EGA 색 번호. VGA와 MCGA는 시각적으로 같은 색을 표시하는 색값을
사용합니다.

(b) 비디오 메모리가 64K 바이트보다 큰 VGA와 EGA에서 사용합니다.

(c) 모드 0에서만 사용합니다.

(d) 배경색으로 사용할 때는 Off됩니다.

(e) 비디오 메모리가 64K 바이트보다 작거나 같은 EGA에서 사용합니다.

[ MS-DOS - QBasic ] 화면모드

+-+-+-+-+-+-+-+-+-+-+-+-+-+-+-+-+-+-+-+-+-+-+-+-+-+-+-+-+-+-+-+-+-+-+-+-+-+-+-
< 화면모드 >
+-+-+-+-+-+-+-+-+-+-+-+-+-+-+-+-+-+-+-+-+-+-+-+-+-+-+-+-+-+-+-+-+-+-+-+-+-+-+-

다음 표는 화면모드에 관한 설명입니다.

MDPA, CGA, 허큘레스, Olivetti, EGA, VGA, 또는 MCGA 어댑터
SCREEN 0: 텍스트 모드에서만 사용
* 8 x 8의 문자박스를 사용하는 40 x 25, 40 x 43, 40 x 50, 80 x 25, 80 x
43, 또는 80 x 50의 텍스트 형식 (EGA와 VGA에서는 8 x 14, 9 x 14, 또
는 9 x 16 문자박스 사용가능)
* 16가지 속성의 16색 사용 (CGA 또는 VGA에서)
* 16가지 속성의 64색 사용 (EGA 또는 VGA에서)
* 텍스트 해상도와 어댑터에 좌우됩니다. 8개의 비디오 메모리는 0 - 7
페이지를, 4개의 비디오 메모리는 0 - 3 페이지를, 2개의 비디오 메모리는
0 -1 페이지를, 또 1개의 비디오 메모리는 0 페이지를 가집니다.

CGA, EGA, VGA, 또는 MCGA 어댑터
SCREEN 1: 320 x 200의 중해상도 그래픽 화면
* 40 x 25의 텍스트 형식과 8 x 8 문자박스
* CGA에서 COLOR 명령문을 사용하여 3색의 문자색과 16색의 배경색을 지원
* EGA와 VGA에서 4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 페이지 영역은 0

SCREEN 2: 640 x 200의 고해상도 화면
* 8 x 8 문자박스로 된 80 x 25의 텍스트 형식지원
* EGA와 VGA에서 2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 페이지 영역은 0

 허큘레스, Olivetti, 또는 AT&T 어댑터
SCREEN 3: 허큘레스 어댑터와 모노크롬에서만 사용가능
* 720 x 348의 그래픽 화면
* 80 x 25의 텍스트 형식과 9 x 14의 문자박스
* 보통 2 개의 페이지 (영역은 0 - 1); 다른 칼라 어댑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1 페이지 (영역은 0)
* PALLATE 명령문이 지원되지 않음
* 단, msherc.com 을 먼저 실행시켜야 합니다.

SCREEN 4:
* Olivetti의 모델들인 M24, M240, M28, M280, M380, M380/C, M380/T 그리고
AT&T의 630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 640 x 400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
* 80 x 25의 텍스트 형식과 9 x 14의 문자박스
* 문자색에서 지정된 16색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COLOR 명령문에 의해서
지정; 배경색은 검정으로 지정되어집니다.
* 페이지 영역은 0
* PALETTE 명령문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EGA 또는 VGA 어댑터
SCREEN 7: 320 x 200의 중해상도 그래픽 화면
* 8 x 8 문자박스와 80 x 25의 텍스트 형식지원
* 16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 32K의 페이지를 사용 (페이지 영역은 0-1 (64K), 0-3 (128K), 또는 0-7
(256K))

SCREEN 8: 640 x 200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
* 8 x 8 문자박스와 80 x 25의 텍스트 형식 지원
* 16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 64K의 페이지 사용 (페이지 영역은 0 (64K), 0-1 (128K), 또는 0-3 (245K))

SCREEN 9: 640 x 350의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
* 80 x 25 또는 80 x 43 텍스트 형식과, 8 x 14 또는 8 x 8 문자박스 지원
* 4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64K 어댑터 메모리), 또는
16가지 속성의 16색을 사용 (64K 어댑터 메모리 이상에서)
* 64K의 페이지를 사용 (페이지 영역은 0 (64K))
128K의 페이지를 사용 (페이지 영역은 0 (128K) 또는 0-1 (256K))

EGA 또는 VGA 어댑터, 모노크롬
SCREEN 10: 640 x 350의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으로 모노크롬 모니터에서만 사용
* 8 x 8 또는 8 x 14의 문자박스와 80 x 25 또는 80 x 43의 텍스트 형식
지원
* 4가지 속성의 9개의 가상색을 사용
* 128K의 페이지 사용 (페이지 영역은 0 (128K) 또는 0-1 (256K))

VGA 또는 MCGA 어댑터
SCREEN 11 (VGA 또는 MCGA)
* 640 x 480의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
* 8 x 8 또는 8 x 16의 문자박스와 80 x 30 또는 80 x 60의 텍스트 형식
지원
* 2가지 속성에 256K 색을 사용
* 페이지 영역은 0

SCREEN 12 (VGA)
* 640 x 480의 고해상도 그래픽 화면
* 8 x 8 또는 8 x 16의 문자박스와 80 x 30 또는 80 x 60의 텍스트 형식
지원
* 16가지 속성에 256K 색을 사용
* 페이지 영역은 0

SCREEN 13 (VGA 또는 MCGA)
* 320 x 200의 중해상도 그래픽 화면
* 8 x 8의 문자박스의 40 x 25의 텍스트 형식지원
* 256가지 속성의 256K 색을 사용
* 페이지 영역은 0

[ MS-DOS - QBasic ] 실행시간 오류코드



코드번호 메시지

1 NEXT에 짝이 되는 FOR가 없습니다.

2 구문 오류입니다.

3 GOSUB없이 RETURN이 사용되었습니다.

4 데이터가 모자랍니다.

5 기능 호출이 잘못되었습니다.

6 계산결과가 한계값을 초과하였습니다.

7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부족합니다.

8 이름표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9 배열의 첨자 범위를 넘었습니다.

10 정의가 중복되었습니다.

11 0으로 나누었습니다.

12 실행창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3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14 문자열 공간이 부족합니다.
+-+-+-+-+-+-+-+-+-+-+-+-+-+-+-+-+-+-+-+-+-+-+-+-+-+-+-+-+-+-+-+-+-+-+-+-+-+-+-

16 문자열이 너무 길거나 복잡합니다.

17 계속할 수 없습니다.

18 함수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19 RESUME이 없습니다.

20 RESUME이 잘못 사용되었습니다.
+-+-+-+-+-+-+-+-+-+-+-+-+-+-+-+-+-+-+-+-+-+-+-+-+-+-+-+-+-+-+-+-+-+-+-+-+-+-+-

24 장치 대기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

25 장치가 잘못되었습니다.

26 NEXT없이 FOR가 사용되었습니다.

27 인쇄용지가 없습니다.
+-+-+-+-+-+-+-+-+-+-+-+-+-+-+-+-+-+-+-+-+-+-+-+-+-+-+-+-+-+-+-+-+-+-+-+-+-+-+-

29 WEND없이 WHILE이 사용되었습니다.

30 WHILE없이 WEND가 사용되었습니다.
+-+-+-+-+-+-+-+-+-+-+-+-+-+-+-+-+-+-+-+-+-+-+-+-+-+-+-+-+-+-+-+-+-+-+-+-+-+-+-

33 이름표가 중복되었습니다.
+-+-+-+-+-+-+-+-+-+-+-+-+-+-+-+-+-+-+-+-+-+-+-+-+-+-+-+-+-+-+-+-+-+-+-+-+-+-+-

35 부프로그램이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

37 인수의 갯수가 맞지 않습니다.
38 배열이 선언되지 않았습니다.
+-+-+-+-+-+-+-+-+-+-+-+-+-+-+-+-+-+-+-+-+-+-+-+-+-+-+-+-+-+-+-+-+-+-+-+-+-+-+-

40 인수로서 변수가 필요합니다.
+-+-+-+-+-+-+-+-+-+-+-+-+-+-+-+-+-+-+-+-+-+-+-+-+-+-+-+-+-+-+-+-+-+-+-+-+-+-+-

50 FIELD가 초과되었습니다.

51 내부 오류입니다.

52 파일이름 또는 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53 파일이 없습니다.

54 파일모드가 틀립니다.

55 파일이 이미 열려있습니다.

56 FIELD에 의해 이미 할당되었습니다.

57 입출력 오류입니다.

58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습니다.

59 레코드 길이가 다릅니다.

61 디스크가 가득 찼습니다.

62 파일에 더 이상의 데이터가 없습니다.

63 레코드 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

64 파일이름이 잘못되었습니다.
+-+-+-+-+-+-+-+-+-+-+-+-+-+-+-+-+-+-+-+-+-+-+-+-+-+-+-+-+-+-+-+-+-+-+-+-+-+-+-

67 파일이 너무 많습니다.

68 장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69 통신 버퍼가 넘쳤습니다.

70 접근할 수 없습니다.

71 디스크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72 디스크 매체 오류입니다.

73 이 버전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기능입니다.

74 다른 디스크로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75 경로/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76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
+-+-+-+-+-+-+-+-+-+-+-+-+-+-+-+-+-+-+-+-+-+-+-+-+-+-+-+-+-+-+-+-+-+-+-+-+-+-+-



[ MS-DOS - QBasic ] 키보드스캔코드표



키 코드  키 코드  키 코드

Esc 1  A 30  Caps Lock 58
! 또는 1 2  S 31  F1 59
@ 또는 2 3  D 32  F2 60
# 또는 3 4  F 33  F3 61
$ 또는 4 5  G 34  F4 62
% 또는 5 6  H 35  F5 63
^ 또는 6 7  J 36  F6 64
& 또는 7 8  K 37  F7 65
* 또는 8 9  L 38  F8 66
( 또는 9 10  : 또는 ; 39  F9 67
) 또는 0 11  " 또는 ' 40  F10 68
_ 또는 - 12  ~ 또는 ` 41  F11 133
+ 또는 = 13  왼쪽 시프트 42  F12 134
Bksp 14  | 또는 \ 43  NumLock 69
Tab 15  Z 44  Scroll Lock 70
Q 16  X 45  Home 또는 7 71
W 17  C 46  Up 또는 8 72
E 18  V 47  PgUp 또는 9 73
R 19  B 48  Gray - 74
T 20  N 49  왼쪽 또는 4 75
Y 21  M 50  Center 또는 5 76
U 22  < 또는 , 51  오른쪽 또는 6 77
I 23  > 또는 . 52  + 78
O 24  ? 또는 / 53  End 또는 1 79
P 25  오른쪽 시프트 54  Down 또는 2 80
{ 또는 [ 26  Prt Sc 또는 * 55  PgDn 또는 3 81
} 또는 ] 27  Alt 56  Ins 또는 0 82
Enter 28  스페이스바 57  Del 또는 . 83
Ctrl 29 


[ MS-DOS - QBasic ] ASCII 문자표





< C/목차 > < I/색인 > < B/이전화면 >
참조사항

< ASCII 문자표 >


ASCII 표 (0 - 127)

000 (nul) 016  (dle) 032 sp 048 0 064 @ 080 P 096 ` 112 p
001  (soh) 017  (dc1) 033 ! 049 1 065 A 081 Q 097 a 113 q
002  (stx) 018  (dc2) 034 " 050 2 066 B 082 R 098 b 114 r
003  (etx) 019  (dc3) 035 # 051 3 067 C 083 S 099 c 115 s
004  (eot) 020  (dc4) 036 $ 052 4 068 D 084 T 100 d 116 t
005  (enq) 021  (nak) 037 % 053 5 069 E 085 U 101 e 117 u
006  (ack) 022  (syn) 038 & 054 6 070 F 086 V 102 f 118 v
007  (bel) 023  (etb) 039 ' 055 7 071 G 087 W 103 g 119 w
008  (bs) 024  (can) 040 ( 056 8 072 H 088 X 104 h 120 x
009 (tab) 025  (em) 041 ) 057 9 073 I 089 Y 105 i 121 y
010 (lf) 026 (eof) 042 * 058 : 074 J 090 Z 106 j 122 z
011 (vt) 027  (esc) 043 + 059 ; 075 K 091 [ 107 k 123 {
012 (np) 028  (fs) 044 , 060 < 076 L 092 \ 108 l 124 |
013 (cr) 029  (gs) 045 - 061 = 077 M 093 ] 109 m 125 }
014  (so) 030  (rs) 046 . 062 > 078 N 094 ^ 110 n 126 ~
015  (si) 031  (us) 047 / 063 ? 079 O 095 _ 111 o 127 



[ MS-DOS - QBasic ] BASICA 프로그램 바꾸기

BASICA 프로그램을 QBasic 프로그램으로 바꿀 때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합니다.

* QBasic은 BASICA의 이진 파일 형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BASICA 프로그램을
ASCII 형태로 저장하여야 합니다.

* QBasic을 호출할 때 /MBF 명령을 사용해야 BASICA 데이터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 BASICA에서 사용하는 CALL 명령문들은 CALL ABSOLUTE 명령문으로 바꿔야
합니다.

번호를 없애려면 REMLINE.BAS 파일을 이용합니다. QBasic은 번호가 필요
없으므로 프로그램 이해가 쉽습니다.

[ MS-DOS - QBasic ] BASICA와의 차이 ,지원되지 않는 중심어




< BASICA와의 차이 >
+-+-+-+-+-+-+-+-+-+-+-+-+-+-+-+-+-+-+-+-+-+-+-+-+-+-+-+-+-+-+-+-+-+-+-+-+-+-+-

다음 중심어들은 QBasic에서 조금씩 달리 사용되어집니다.

BSAVE, BLOAD BSAVE와 BLOAD 명령문은 카세트 장치를 지원하지 않고,
메모리 위치도 다를 수 있습니다.

CALL ABSOLUTE BASICA로 호출한 어셈블리 언어 프로그램은 문자열 인수를
사용할 경우 QBasic에 맞게 바꿔야 합니다. 이 경우
4바이트로 되는데 2바이트는 문자열 길이를 다음 2바이트는
문자열의 주소를 나타냅니다.

CHAIN QBasic에서는 CHAIN 명령 사용시 줄번호를 지정할 수 없고,
또한 ALL, MERGE, 또는 DELETE 옵션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COMMON, DECLARE COMMON과 DECLARE 명령문 앞에 수행가능한
명령문을 둘 수 없습니다.

DEF형 변수에 !, #, &, $, 또는 %가 없는 경우, 가장 최근에 사용된
DEF형 명령문을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다음 BASICA
프로그램에서 변수 IFLAG의 형은 정수에서 단정도 수로
바뀌게 됩니다.

10 DEFINT I
20 PRINT IFLAG
30 DEFSNG I
40 GOTO 20

변수가 프로그램에서 일단 이용되면, 그 변수의 형은 변할
수없습니다.

DIM BASICA에서 사용되는 배열들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기억장소가 할당되지만, QBasic은 DIM을 이용하여 배열을
동적 또는 정적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DRAW, PLAY BASICA의 명령문자열 내에 있는 변수나 명령문자열은
QBasi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VARPTR$ 함수를 이용해서
바꿔줘야 합니다.

BASICA 명령문 QBasic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
 
DRAW "X명령문자열" DRAW "X" + VARPTR$ (명령문자열)
DRAW "TA = angle" DRAW "TA =" + VARPTR$(angle)

EOF BASICA 프로그램에서 EOF(0)는 입력파일의 끝에서 참을
돌려주지만, QBasic에서는 입력파일의 끝을 지나 그 다음
레코드를 읽은 후 참을 돌려줍니다. 예를들면, 다음
프로그램은 BASICA에서는 실행되지만 QBasic에서는
"파일에 더 이상의 데이터가 없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5 WHILE NOT EOF(0)
10 LINE INPUT ; A$
15 WEND

FIELD BASICA에서 CLOSE나 RESET 명령문으로 랜덤접근 파일을
닫으면, FIELD로 할당된 변수들은 GET 명령문으로 가장
최근에 할당한 값을 유지하게 됩니다. QBasic에서 모든
항목 변수들은 크기가 없는 문자열로 바뀝니다.





<지원되지 않는 중심어>
+-+-+-+-+-+-+-+-+-+-+-+-+-+-+-+-+-+-+-+-+-+-+-+-+-+-+-+-+-+-+-+-+-+-+-+-+-+-+-

다음의 퀵베이직 중심어들은 QBasic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ALIAS EVENT LOCAL SETMEM
BYVAL $INCLUDE SADD SIGNAL
CDECL Int86 Interrupt UEVENT
COMMAND$ Int86X InterruptX


다음의 GW-BASIC/BASICA 중심어들은 QBasic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AUTO EDIT MERGE RENUM
CONT LIST MOTOR SAVE
DEF USR LLIST NEW USR
DELETE LOAD



[ MS-DOS - QBasic ] QBasic 이전 버젼과의 차이




< P/이전 버젼과의 차이 >


BASICA/GW-BASIC QBasic
 
언어적 특징

줄번호 필요함 선택 가능
블록 IF/THEN/ELSE/END IF 지원 안함 지원함
프로시져 블록(SUB와 FUNCTION) 지원 안함 지원함
사용자 정의형(레코드) 지원 안함 지원함
SELECT CASE 지원 안함 지원함
DO WHILE/UNTIL, LOOP WHILE/UNTIL 지원 안함 지원함
긴 정수 지원 안함 지원함
IEEE 형식 지원 안함 지원함
상수 지원 안함 지원함
고정 길이 문자열 지원 안함 지원함
VGA 화면모드 지원 안함 지원함
허큘레스/Olivetti 지원 지원 안함 지원함
되돌이 지원 안함 지원함
카세트 테이프 지원 지원함 지원 안함
코드 + 데이터 크기 64K 160K



BASICA/GW-BASIC QBasic
 
디버깅

한 단계씩 지원 안함 지원함
프로시져 단위 지원 안함 지원함
추적 애니메이션 지원 안함 지원함
중단점 기능 지원 안함 지원함
편집하고 계속 지원 안함 지원함




BASICA/GW-BASIC QBasic
 
편집

구문검사 지원 안함 지원함
진단 오류 메시지 없음 있음
오류에 대한 도움말 없음 있음
여러 개의 창 분할 지원 안함 지원함
마우스 지원 지원 안함 지원함
메뉴 없음 있음
Wordstar와 호환 없음 있음
코드 구성 방식 선형 모듈
텍스트 편집을 위한 문서양식 없음 있음
검색과 교환 지원 안함 지원함
즉시 참조 여부 지원 안함 지원함





[ MS-DOS - QBasic ] QBasic의 제한사항




< QBasic의 제한사항 >


다음 항목들은 QBasic 환경에 있어서의 제한 사항들을 설명해줍니다.

++++++++++++++++++++++++++++++++++++++++++++++++++++++++++++++++++++++++++++++
< 변수명, 문자열, 수 >
< 배열 >
< 프로시져와 파일 >
< 보다 강력하려면 >
++++++++++++++++++++++++++++++++++++++++++++++++++++++++++++++++++++++++++++++





< 변수명, 문자열, 수 >
++++++++++++++++++++++++++++++++++++++++++++++++++++++++++++++++++++++++++++++


최대 최소
 
변수명의 길이 40 문자 1 문자
문자열의 길이 32,767 문자 0 문자
정수 32,767 -32,768
긴정수 2,147,483,647 -2,147,483,648
단정도실수:
양수 3.402823E+38 2.802597E-45
음수 -2.802597E-45 -3.402823E+38
배정도실수:
양수 1.79769313486231D+308 4.940656458412465D-324
음수 -4.940656458412465D-324 -1.79769313486231D+308






< 배열 >
++++++++++++++++++++++++++++++++++++++++++++++++++++++++++++++++++++++++++++++

최대 최소
 
배열의 크기(요소의 수):
정적배열 65,535 바이트(64K) 1 바이트
동적배열 65,535 바이트(64K)
허용되는 차원수 60 1
지정하지 않은 경우의 차원수 8 1
첨자값 32,767 -32,768

주의: 1개의 배열에서 첨자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최대 32,767 입니다.




< 프로시져와 파일 >
++++++++++++++++++++++++++++++++++++++++++++++++++++++++++++++++++++++++++++++
최대 최소
 
프로시져의 크기 64K 0
인도되는 인수의 수 60 0
데이터 파일의 수 255 1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 수 2,147,483,647 1
데이터 파일의 레코드 크기 32K 바이트 1 바이트
데이터 파일의 크기 디스크용량에 의함 0
경로명 127 문자 1 문자
오류메시지 번호 255 1



< 보다 강력하려면 >
++++++++++++++++++++++++++++++++++++++++++++++++++++++++++++++++++++++++++++++

QBasic은 BASIC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프로그램을 빨리 수행시키려면 퀵베이직등 BASIC 컴파일러를 사용합니다.
* 160K 이상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큰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BASIC 개발환경을 이용합니다.
* 독립실행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BASIC 컴파일러를 사용합니다.

*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데이터 베이스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BASIC 컴파일러의 ISAM방식을 이용합니다.

BASIC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얻고 싶으면 프로그램을 구입한 곳이나
(주)마이크로소프트로 연락하고, BASIC프로그래밍에 대해 보다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면 다음 서적들을 참고바랍니다.

"Running QBasic" by Michael Halvorson and David Rygmyr (1991).
"QBasic: Programmer's Quick Reference" by Kris Jamsa (1991).
"The Waite Group's QBasic Reference Plus" by Waite, Prata, et al.
(1991).
"The Waite Group's Microsoft QuickBASIC Bible" by Waite, Prata, et al.
(1990).
"The Waite Group's Microsoft QuickBASIC Primer Plus" by Waite et al.
(1990).
"Microsoft QuickBASIC Programmer's Toolbox" by John Clark Craig (1988).
"Microsoft QuickBASIC" by Douglas Hergert (third edition, 1988).



[ MS-DOS - QBasic ] 기능별 목록





< Z/기능별 목록 >




< Keywords > 데이터형 중심어

Data Type



< Keyword > 중심어

APPEND, ABSOLUTE, AS, ACCESS, ANY, BASE, BINARY, CASE, DOUBLE, ELSE, ELSEIF,

INTEGER, IS, LONG, LOOP, LIST, NEXT, OFF, ON, OUTPUT, RANDOM, STEP, SINGLE,

STRING, TO, THEN, UNTIL, USING, WEND


< Character Set > 사용문자

Basic



< Metacommand > 대표명령

$DYNAMIC, $STATIC



< Operators > 논리연산자

Boolean



< Operator > 연산자

EQV, IMP, MOD, NOT, OR, XOR



< Function > 함수

ABS, ASC, ATN, CDBL, COS, CSNG, CHR$, CSRLIN, CINT, CVD, CVDMBF, CVI, CLNG,

CVL, CVS, CVSMBF, DATE$, ERDEV, ERDEV$, ERL, ERR, ENVIRON$, EOF, EXP,

FILEATTR, FRE, FREEFILE, FIX, HEX$, INSTR, INT, INKEY$, INP, IOCTL$, INPUT$,

LBOUND, LCASE$, LOF, LEFT$, LOG, LEN, LPOS, LOC, LTRIM$, MID$, MKI$, MKL$,

MKD$, MKS$, MKSMBF$, MKDMBF$, OCT$, POINT, POS, PEEK, PEN, PLAY, PMAP,

RIGHT$, RND, RTRIM$, SCREEN, SQR, SEEK, STICK, SGN, STR$, STRIG, SIN, STRING$,

SPACE$, SPC, TAB, TAN, TIME$, TIMER, UBOUND, UCASE$,

VAL, VARSEG, VARPTR, VARPTR$,



< Statements > 명령문

WIDTH, TIMER, STRIG, PALETTE, LOCK...UNLOCK, PLAY (Event Trapping)



< Statement > 명령문

BLOAD, BEEP, BSAVE, CALL, COLOR, CALL ABSOLUTE, COM, COMMON, CONST,

CHAIN, CHDIR, CIRCLE, CLEAR, CLOSE, CLS, DATA, DEFLNG, DEFSNG, DEFSTR,

DATE$, DIM, DECLARE, DO...LOOP, DEF FN, DEF SEG, DRAW, DEFDBL, DEFINT, END,

ENVIRON, ERROR, EXIT, ERASE, FIELD, FOR...NEXT, FILES, FUNCTION, GET (File I/O),

GOSUB, GET (Graphics), GOTO, IF...THEN...ELSE, IOCTL, INPUT, KEY (Assignment),

KILL, KEY (Event Trapping), LET, LINE (Graphics), LINE INPUT, LPRINT, LPRINT USING,

LSET, LOCATE, MID$, MKDIR, NAME, ON TIMER, ON...GOSUB, ON COM, ON...GOTO,

ON ERROR, OPEN, OPEN COM, ON KEY, OPTION BASE, ON PEN, ON PLAY, OUT,

ON STRIG, PAINT, POKE, PCOPY, PRESET, PRINT, PEN, PRINT USING, PSET,

PLAY (Music), PUT (File I/O), PUT (Graphics), RETURN, RANDOMIZE, READ, RMDIR,

REDIM, REM, RSET, RESET, RESTORE, RUN, RESUME, SCREEN, STATIC, SEEK,

SELECT CASE, STOP, SHARED, SHELL, SLEEP, SOUND, SUB, SWAP, SYSTEM,

TROFF, TRON, TIME$, TYPE, UNLOCK, VIEW, VIEW PRINT, WAIT, WINDOW,

WHILE...WEND, WRITE












< Keywords > 데이터형 중심어

Data Type Keywords



< Keyword > 중심어

APPEND Keyword
ABSOLUTE Keyword
AS Keyword
ACCESS Keyword
ANY Keyword
BASE Keyword
BINARY Keyword
CASE Keyword
DOUBLE Keyword
ELSE Keyword
ELSEIF Keyword
INTEGER Keyword
IS Keyword
LONG Keyword
LOOP Keyword
LIST Keyword
NEXT Keyword
OFF Keyword
ON Keyword
OUTPUT Keyword
RANDOM Keyword
STEP Keyword
SINGLE Keyword
STRING Keyword
TO Keyword
THEN Keyword
UNTIL Keyword
USING Keyword
WEND Keyword



< Character Set > 사용문자

Basic Character Set



< Metacommand > 대표명령

$DYNAMIC Metacommand
$STATIC Metacommand



< Operators > 논리연산자

Boolean Operators



< Operator > 연산자

EQV Operator
IMP Operator
MOD Operator
NOT Operator
OR Operator
XOR Operator



< Function > 함수

ABS Function
ASC Function
ATN Function
CDBL Function
COS Function
CSNG Function
CHR$ Function
CSRLIN Function
CINT Function
CVD Function
CVDMBF Function
CVI Function
CLNG Function
CVL Function
CVS Function
CVSMBF Function
DATE$ Function
ERDEV Function
ERDEV$ Function
ERL Function
ERR Function
ENVIRON$ Function
EOF Function
EXP Function
FILEATTR Function
FRE Function
FREEFILE Function
FIX Function
HEX$ Function
INSTR Function
INT Function
INKEY$ Function
INP Function
IOCTL$ Function
INPUT$ Function
LBOUND Function
LCASE$ Function
LOF Function
LEFT$ Function
LOG Function
LEN Function
LPOS Function
LOC Function
LTRIM$ Function
MID$ Function
MKI$ Function
MKL$ Function
MKD$ Function
MKS$ Function
MKSMBF$ Function
MKDMBF$ Function
OCT$ Function
POINT Function
POS Function
PEEK Function
PEN Function
PLAY Function
PMAP Function
RIGHT$ Function
RND Function
RTRIM$ Function
SCREEN Function
SQR Function
SEEK Function
STICK Function
SGN Function
STR$ Function
STRIG Function
SIN Function
STRING$ Function
SPACE$ Function
SPC Function
TAB Function
TAN Function
TIME$ Function
TIMER Function
UBOUND Function
UCASE$ Function
VAL Function
VARSEG Function
VARPTR Function
VARPTR$ Function



< Statements > 명령문

WIDTH Statements
TIMER Statements
STRIG Statements
PALETTE Statements
LOCK...UNLOCK Statements
PLAY (Event Trapping) Statements





< Statement > 명령문


BLOAD Statement
BEEP Statement
BSAVE Statement
CALL Statement
COLOR Statement
CALL ABSOLUTE Statement
COM Statement
COMMON Statement
CONST Statement
CHAIN Statement
CHDIR Statement
CIRCLE Statement
CLEAR Statement
CLOSE Statement
CLS Statement
DATA Statement
DEFLNG Statement
DEFSNG Statement
DEFSTR Statement
DATE$ Statement
DIM Statement
DECLARE Statement
DO...LOOP Statement
DEF FN Statement
DEF SEG Statement
DRAW Statement
DEFDBL Statement
DEFINT Statement
END Statement
ENVIRON Statement
ERROR Statement
EXIT Statement
ERASE Statement
FIELD Statement
FOR...NEXT Statement
FILES Statement
FUNCTION Statement
GET (File I/O) Statement
GOSUB Statement
GET (Graphics) Statement
GOTO Statement
IF...THEN...ELSE Statement
IOCTL Statement
INPUT Statement
KEY (Assignment) Statement
KILL Statement
KEY (Event Trapping) Statement
LET Statement
LINE (Graphics) Statement
LINE INPUT Statement
LPRINT Statement
LPRINT USING Statement
LSET Statement
LOCATE Statement
MID$ Statement
MKDIR Statement
NAME Statement
ON TIMER Statement
ON...GOSUB Statement
ON COM Statement
ON...GOTO Statement
ON ERROR Statement
OPEN Statement
OPEN COM Statement
ON KEY Statement
OPTION BASE Statement
ON PEN Statement
ON PLAY Statement
OUT Statement
ON STRIG Statement
PAINT Statement
POKE Statement
PCOPY Statement
PRESET Statement
PRINT Statement
PEN Statement
PRINT USING Statement
PSET Statement
PLAY (Music) Statement
PUT (File I/O) Statement
PUT (Graphics) Statement
RETURN Statement
RANDOMIZE Statement
READ Statement
RMDIR Statement
REDIM Statement
REM Statement
RSET Statement
RESET Statement
RESTORE Statement
RUN Statement
RESUME Statement
SCREEN Statement
STATIC Statement
SEEK Statement
SELECT CASE Statement
STOP Statement
SHARED Statement
SHELL Statement
SLEEP Statement
SOUND Statement
SUB Statement
SWAP Statement
SYSTEM Statement
TROFF Statement
TRON Statement
TIME$ Statement
TYPE Statement
UNLOCK Statement
VIEW Statement
VIEW PRINT Statement
WAIT Statement
WINDOW Statement
WHILE...WEND Statement
WRITE Statement






[ MS-DOS - QBasic ] 순서별 목록





< Z/순서별 목록 >





< A >


ABS Function

APPEND Keyword

ABSOLUTE Keyword

AS Keyword

ACCESS Keyword

ASC Function

AND Operator

ATN Function

ANY Keyword






< B >


BASE Keyword

BLOAD Statement

Basic Character Set

Boolean Operators

BEEP Statement

BSAVE Statement

BINARY Keyword







< C >


CALLStatement

COLOR Statement

CALL ABSOLUTE Statement

COM Statement

CASE Keyword

COMMON Statement

CDBL Function

CONST Statement

CHAIN Statement

COS Function

CHDIR Statement

CSNG Function

CHR$ Function

CSRLIN Function

CINT Function

CVD Function

CIRCLE Statement

CVDMBF Function

CLEAR Statement

CVI Function

CLNG Function

CVL Function

CLOSE Statement

CVS Function

CLS Statement

CVSMBF Function






< D >


DATA Statement

DEFLNG Statement

Data Type Keywords

DEFSNG Statement

DATE$ Function

DEFSTR Statement

DATE$ Statement

DIM Statement

DECLARE Statement

DO...LOOP Statement

DEF FN Statement

DOUBLE Keyword

DEF SEG Statement

DRAW Statement

DEFDBL Statement

$DYNAMIC Metacommand

DEFINT Statement






< E >


ELSEIF Keyword

ERDEV$ Function

END Statement

ERL Function

ENVIRON Statement

ERR Function

ENVIRON$ Function

ERROR Statement

EOF Function

EXIT Statement

EQV Operator

EXP Function

ERASE Statement






< F >


FIELD Statement

FOR...NEXT Statement

FILEATTR Function

FRE Function

FILES Statement

FREEFILE Function

FIX Function

FUNCTION Statement






< G >


GET (File I/O) Statement

GOSUB Statement

GET (Graphics) Statement

GOTO Statement





< H >


HEX$ Function






< I >

IF...THEN...ELSE Statement

INSTR Function

IMP Operator

INT Function

INKEY$ Function

INTEGER Keyword

INP Function

IOCTL Statement

INPUT Statement

IOCTL$ Function

INPUT$ Function

IS Keyword





< K >


KEY (Assignment) Statement

KILL Statement

KEY (Event Trapping) Statement





< L >


LBOUND Function

LOCK...UNLOCK Statements

LCASE$ Function

LOF Function

LEFT$ Function

LOG Function

LEN Function

LONG Keyword

LET Statement

LOOP Keyword

LINE (Graphics) Statement

LPOS Function

LINE INPUT Statement

LPRINT Statement

LIST Keyword

LPRINT USING Statement

LOC Function

LSET Statement

LOCATE Statement

LTRIM$ Function






< M >


MID$ Function

MKI$ Function

MID$ Statement

MKL$ Function

MKD$ Function

MKS$ Function

MKDIR Statement

MKSMBF$ Function

MKDMBF$ Function

MOD Operator






< N >


NAME Statement

NOT Operator

NEXT Keyword






< O >


OCT$ Function

ON TIMER Statement

OFF Keyword

ON...GOSUB Statement

ON COM Statement

ON...GOTO Statement

ON ERROR Statement

OPEN Statement

ON Keyword

OPEN COM Statement

ON KEY Statement

OPTION BASE Statement

ON PEN Statement

OR Operator

ON PLAY Statement

OUT Statement

ON STRIG Statement

OUTPUT Keyword






< P >


PAINT Statement

POINT Function

PALETTE Statements

POKE Statement

PCOPY Statement

POS Function

PEEK Function

PRESET Statement

PEN Function

PRINT Statement

PEN Statement

PRINT USING Statement

PLAY Function

PSET Statement

PLAY (Music) Statement

PUT (File I/O) Statement

PLAY (Event Trapping) Statements

PUT (Graphics) Statement

PMAP Function





< Q >


RANDOM Keyword

RETURN Statement

RANDOMIZE Statement

RIGHT$ Function

READ Statement

RMDIR Statement

REDIM Statement

RND Function

REM Statement

RSET Statement

RESET Statement

RTRIM$ Function

RESTORE Statement

RUN Statement

RESUME Statement





< S >


SCREEN Function

SQR Function

SCREEN Statement

STATIC Statement

SEEK Function

$STATIC Metacommand

SEEK Statement

STEP Keyword

SELECT CASE Statement

STICK Function

SGN Function

STOP Statement

SHARED Statement

STR$ Function

SHELL Statement

STRIG Function

SIN Function

STRIG Statements

SINGLE Keyword

STRING Keyword

SLEEP Statement

STRING$ Function

SOUND Statement

SUB Statement

SPACE$ Function

SWAP Statement

SPC Function

SYSTEM Statement






< T >


TAB Function

TIMER Statements

TAN Function

TO Keyword

THEN Keyword

TROFF Statement

TIME$ Function

TRON Statement

TIME$ Statement

TYPE Statement

TIMER Function





< U >


UBOUND Function

UNTIL Keyword

UCASE$ Function

USING Keyword

UNLOCK Statement






< V >


VAL Function

VARSEG Function

VARPTR Function

VIEW Statement

VARPTR$ Function

VIEW PRINT Statement






< W >


WAIT Statement

WIDTH Statements

WEND Keyword

WINDOW Statement

WHILE...WEND Statement

WRITE Statement






< X >


XOR Operator
















< A >


ABS 함수 APPEND 중심어
ABSOLUTE 중심어 AS 중심어
ACCESS 중심어 ASC 함수
AND 연산자 ATN 함수
ANY 중심어


< B >


BASE 중심어 BLOAD 명령문
BASIC 사용문자 논리연산자
BEEP 명령문 BSAVE 명령문
BINARY 중심어


< C >


CALL 명령문 COLOR 명령문
CALL ABSOLUTE 명령문 COM 명령문
CASE 중심어 COMMON 명령문
CDBL 함수 CONST 명령문
CHAIN 명령문 COS 함수
CHDIR 명령문 CSNG 함수
CHR$ 함수 CSRLIN 함수
CINT 함수 CVD 함수
CIRCLE 명령문 CVDMBF 함수
CLEAR 명령문 CVI 함수
CLNG 함수 CVL 함수
CLOSE 명령문 CVS 함수
CLS 명령문 CVSMBF 함수


< D >


DATA 명령문 DEFLNG 명령문
데이터형 중심어 DEFSNG 명령문
DATE$ 함수 DEFSTR 명령문
DATE$ 명령문 DIM 명령문
DECLARE 명령문 DO...LOOP 명령문
DEF FN 명령문 DOUBLE 중심어
DEF SEG 명령문 DRAW 명령문
DEFDBL 명령문 $DYNAMIC 대표명령
DEFINT 명령문


< E >


ELSEIF 중심어 ERDEV$ 함수
END 명령문 ERL 함수
ENVIRON 명령문 ERR 함수
ENVIRON$ 함수 ERROR 명령문
EOF 함수 EXIT 명령문
EQV 연산자 EXP 함수
ERASE 명령문


< F >


FIELD 명령문 FOR...NEXT 명령문
FILEATTR 함수 FRE 함수
FILES 명령문 FREEFILE 함수
FIX 함수 FUNCTION 명령문


< G >


GET (파일 입출력) 명령문 GOSUB 명령문
GET (그래픽) 명령문 GOTO 명령문


< H >


HEX$ 함수


< I >


IF...THEN...ELSE 명령문 INSTR 함수
IMP 연산자 INT 함수
INKEY$ 함수 INTEGER 중심어
INP 함수 IOCTL 명령문
INPUT 명령문 IOCTL$ 함수
INPUT$ 함수 IS 중심어


< K >


KEY (대입문) 명령문 KILL 명령문
KEY (사건처리) 명령문


< L >


LBOUND 함수 LOCK...UNLOCK 명령문
LCASE$ 함수 LOF 함수
LEFT$ 함수 LOG 함수
LEN 함수 LONG 중심어
LET 명령문 LOOP 중심어
LINE (그래픽) 명령문 LPOS 함수
LINE INPUT 명령문 LPRINT 명령문
LIST 중심어 LPRINT USING 명령문
LOC 함수 LSET 명령문
LOCATE 명령문 LTRIM$ 함수


< M >


MID$ 함수 MKI$ 함수
MID$ 명령문 MKL$ 함수
MKD$ 함수 MKS$ 함수
MKDIR 명령문 MKSMBF$ 함수
MKDMBF$ 함수 MOD 연산자


< N >


NAME 명령문 NOT 연산자
NEXT 중심어


< O >


OCT$ 함수 ON TIMER 명령문
OFF 중심어 ON...GOSUB 명령문
ON COM 명령문 ON...GOTO 명령문
ON ERROR 명령문 OPEN 명령문
ON 중심어 OPEN COM 명령문
ON KEY 명령문 OPTION BASE 명령문
ON PEN 명령문 OR 연산자
ON PLAY 명령문 OUT 명령문
ON STRIG 명령문 OUTPUT 중심어


< P >


PAINT 명령문 POINT 함수
PALETTE 명령문 POKE 명령문
PCOPY 명령문 POS 함수
PEEK 함수 PRESET 명령문
PEN 함수 PRINT 명령문
PEN 명령문 PRINT USING 명령문
PLAY 함수 PSET 명령문
PLAY (음악) 명령문 PUT (파일 입출력) 명령문
PLAY (사건처리) 명령문 PUT (그래픽) 명령문
PMAP 함수


< Q >


RANDOM 중심어 RETURN 명령문
RANDOMIZE 명령문 RIGHT$ 함수
READ 명령문 RMDIR 명령문
REDIM 명령문 RND 함수
REM 명령문 RSET 명령문
RESET 명령문 RTRIM$ 함수
RESTORE 명령문 RUN 명령문
RESUME 명령문


< S >


SCREEN 함수 SQR 함수
SCREEN 명령문 STATIC 명령문
SEEK 함수 $STATIC 대표명령
SEEK 명령문 STEP 중심어
SELECT CASE 명령문 STICK 함수
SGN 함수 STOP 명령문
SHARED 명령문 STR$ 함수
SHELL 명령문 STRIG 함수
SIN 함수 STRIG 명령문
SINGLE 중심어 STRING 중심어
SLEEP 명령문 STRING$ 함수
SOUND 명령문 SUB 명령문
SPACE$ 함수 SWAP 명령문
SPC 함수 SYSTEM 명령문


< T >


TAB 함수 TIMER 명령문
TAN 함수 TO 중심어
THEN 중심어 TROFF 명령문
TIME$ 함수 TRON 명령문
TIME$ 명령문 TYPE 명령문
TIMER 함수


< U >


UBOUND 함수 UNTIL 중심어
UCASE$ 함수 USING 중심어
UNLOCK 명령문


< V >


VAL 함수 VARSEG 함수
VARPTR 함수 VIEW 명령문
VARPTR$ 함수 VIEW PRINT 명령문


< W >


WAIT 명령문 WIDTH 명령문
WEND 중심어 WINDOW 명령문
WHILE...WEND 명령문 WRITE 명령문


< X >


XOR 연산자



[ MS-DOS - QBasic ] 목적별 중심어 목록




< O/목적별 중심어 목록 >


프로그램의 목적 중심어
 
프로그램 제어 DO...LOOP, END, EXIT, FOR...NEXT,
IF...THEN...ELSE, GOSUB...RETURN,
GOTO, ON...GOSUB, ON...GOTO,
SELECT CASE, STOP, SYSTEM


상수와 변수선언 CONST, DATA, DIM, ERASE, OPTION BASE,
READ, REDIM, REM, RESTORE, SWAP,
TYPE...END TYPE


프로시져의 정의와 호출 CALL, DECLARE, EXIT, FUNCTION, RUN,
SHELL, SHARED, STATIC, SUB


장치의 입출력 CLS, CSRLIN, INKEY$, INP, INPUT,
KEY (대입문), LINE INPUT, LOCATE,
LPOS, LPRINT, LPRINT USING, OPEN COM,
OUT, POS, PRINT, PRINT USING, SPC,
SCREEN 함수, TAB, VIEW PRINT,
WAIT, WIDTH


그래픽 이미지의 표시 CIRCLE, COLOR, GET (그래픽), LINE,
PAINT, PALETTE, PCOPY, PMAP, POINT,
PRESET, PSET, PUT (그래픽),
SCREEN 명령문, VIEW, WINDOW


DOS의 파일 시스템 CHDIR, KILL, MKDIR, NAME, RMDIR


파일의 입출력 CLOSE, EOF, FILEATTR, FREEFILE
GET (파일 입출력), INPUT, INPUT$,
LINE INPUT, LOC, LOCK, LOF, OPEN,
PUT (파일 입출력), SEEK 함수,
SEEK 명령문, UNLOCK, WRITE


메모리 관리 CLEAR, FRE, PEEK, POKE


문자열 처리 ASC, CHR$, HEX$, INSTR, LCASE$, LEFT$,
LEN, LSET, LTRIM$, MID$ 함수, MID$
명령문, OCT$, RIGHT$, RSET, RTRIM$
SPACE$, STR$, STRING$, UCASE$, VAL


수학수식 계산 ABS, ASC, ATN, CDBL, CINT, CLNG, COS,
CSNG, CVDMBF, CVSMBF, EXP, INT, LOG,
RANDOMIZE, RND, SGN, SIN, SQR, TAN,
TIME$ 함수


사건이나 오류처리 COM, ERDEV, ERDEV$, ERL, ERR, ERROR,
KEY (사건 처리), ON COM, ON ERROR,
ON KEY, ON PLAY, ON STRIG,
ON TIMER, PLAY (사건 처리),
RESUME, RETURN, STRIG, TIMER 함수,
TIMER 명령문



[ MS-DOS - QBasic ] BASIC 사용문자




< BASIC 사용문자 >


마이크로소프트 BASIC은 A-Z, a-z, 0-9, 16진수인 A-F, a-f 그리고 특수문자들을
사용합니다. 다음 문자들은 BASIC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데이터형 접미사 
 ! 단정도 % 정수 
 # 배정도 & 긴정수 
 $ 문자열 


수학 연산자 특수문자
 * 곱셈기호  ' 설명문 
 - 뺄셈기호  ; PRINT와 INPUT 명령문의 출력 
 / 나눗셈기호  제어 
 = 관계연산자 또는 대입기호  , PRINT와 INPUT 명령문의 출력 
 > ...보다 크다  제어 
 + 덧셈기호  : 한 줄에 있는 여러 명령문 사이 
 . 소수점  를 구분할 때 
 < ...보다 작다  ? INPUT 명령문의 프롬프트 
 \ 정수 나눗셈기호  _ 줄의 계속을 나타낼 때 
 ^ 지수승기호  (QBasic에서는 지원하지 않습 
  니다.) 
 


[ MS-DOS - QBasic ] QBasic에 대하여





< C/목차 > < I/색인 > < B/이전화면 >
QBasic에 대하여

< QBasic 명령 >


이 옵션들은 DOS 명령 상태에서 QBasic 뒤에 입력합니다.

QBASIC [/B] [/EDITOR] [/G] [/H] [/MBF] [/NOHI] [[/RUN] 프로그램이름]

옵션 설명
 
/B 칼라 그래픽 카드에서 단색 모니터를 사용할 때 지정합니다.
/B 옵션을 지정하면 칼라 모니터를 가지고 있어도 QBasic의
화면이 단색으로 표시됩니다.

/EDITOR MS-DOS 에디터를 호출합니다. /ED로 생략하여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G CGA 화면을 최대한 빨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QBasic이 화면을 설정할 때 화면에 눈이 내리는 듯한
현상이 생기는 것은 하드웨어가 이 옵션을 완전히 지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G옵션 없이 QBasic을 호출하면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H 하드웨어에서 지원가능한 최대 줄수를 지원합니다.

/MBF QBasic의 변환함수(CVS, CVD, MKS$, MKD$)들이 IEEE형식의
수치를 마이크로소프트 이진형식의 수치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NOHI 배밝기를 지원하지 않는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파일이름 QBasic이 수행될 때 읽을 파일이름을 지정합니다. GW-BASIC
이나 BASICA로 작성된 파일은 GW-BASIC이나 BASICA에서 ,A
옵션으로 저장한 후 읽어야 합니다.

/RUN [파일이름] QBasic을 호출할 때 파일이름에 지정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서 실행합니다.




[ MS-DOS - QBasic ] 디버그 키조작




< D/디버그 키조작 >


프로그램 실행을 처음부터 시작 Shift+F5
현재 명령문부터 실행시작 F5
현재 커서 위치까지 프로그램을 실행 F7

다음 프로그램 명령문을 실행 F8
프로시져를 따라 한 단계씩 F10

중단점 설정 또는 해제 F9

[ MS-DOS - QBasic ] 검색의 키조작





< F/검색의 키조작 >


커서이동키 QBasic WordStar

한 문자 왼쪽으로 왼쪽화살표 Ctrl+S
한 문자 오른쪽으로 오른쪽화살표 Ctrl+D
한 단어 왼쪽으로 Ctrl+왼쪽화살표 Ctrl+A
한 단어 오른쪽으로 Ctrl+오른쪽화살표 Ctrl+F
한 줄 위로 위화살표 Ctrl+E
한 줄 아래로 아래화살표 Ctrl+X
줄의 맨 앞으로 Home
현재 줄의 맨 앞으로 Ctrl+Q+S
다음 줄의 맨 앞으로 Ctrl+Enter Ctrl+J
줄의 끝으로 End Ctrl+Q+D
창의 제일 위로 Ctrl+Q+E
창의 제일 아래로 Ctrl+Q+X
다음창으로 F6
현재창의 크기를 늘임 Alt+Plus
현재창의 크기를 늘임 Alt+Plus
현재창의 크기를 줄임 Alt+Minus

화면 이동키 QBasic WordStar

한 줄 위로 Ctrl+위화살표 Ctrl+W
한 줄 아래로 Ctrl+아래화살표 Ctrl+Z
한 화면 위로 PgUp Ctrl+R
한 화면 아래로 PgDn Ctrl+C
한 화면 왼쪽으로 Ctrl+PgUp
한 화면 오른쪽으로 Ctrl+PgDn
위치 표시하기(4개 까지 가능) Ctrl+K,0-3
표시한 위치로 이동 Ctrl+Q,0-3

텍스트 선택키 QBasic

왼쪽 문자 Shift+왼쪽화살표
오른쪽 문자 Shift+오른쪽화살표
왼쪽 단어 Shift+Ctrl+왼쪽화살표
오른쪽 단어 Shift+Ctrl+오른쪽화살표
현재 줄 Shift+아래화살표
윗 줄 Shift+위화살표
윗 화면 Shift+PgUp
아래 화면 Shift+PgDn
파일 시작 Shift+Ctrl+Home
파일 끝 Shift+Ctrl+End

삽입과 복사키 QBasic WordStar

삽입 모드를 On/Off Ins Ctrl+V
선택한 텍스트를 버퍼로 복사 Ctrl+Ins
선택한 텍스트를 지우고 버퍼로 복사 Shift+Del
현재 줄을 지우고 버퍼로 복사 Ctrl+Y
윗 줄을 지우고 버퍼로 복사 Ctrl+Q,Y
버퍼의 내용을 붙여넣음 Shift+Ins
커서 아래에 공백줄을 삽입 End,Enter
커서 위에 공백줄을 삽입 Home,Ctrl+N
특수문자 삽입 Ctrl+P,Ctrl+key

삭제키 QBasic WordStar

커서의 왼쪽 문자를 삭제 Backspace Ctrl+H
커서에 있는 문자를 삭제 Del Ctrl+G
커서에 있는 단어를 삭제 Ctrl+T
선택한 텍스트를 삭제 Del Ctrl+G
선택한 줄에서 앞 부분의 공백을 삭제 Shift+Tab


출력화면과 편집창 이동 F4

읽혀진 프로시져들의 목록을 보여줌 F2
다음 프로시져를 보여줌 Shift+F2
전의 프로시져를 보여줌 Ctrl+F2

다음 창을 실행창으로 함 F6
전의 창을 실행창으로 함 Shift+F6

여러창과 전체화면의 실행창사이를 이동 Ctrl+F10
실행창의 크기를 늘임 Alt+Plus
실행창의 크기를 줄임 +Minus

동일 문자열 반복찾기 Ctrl+L 또는 F3
문자열 찾기 Ctrl+Q,F
문자열 찾고 교환하기 Ctrl+Q,A


[ MS-DOS - QBasic ] 편집을 위한 키조작




< E/편집을 위한 키조작 >


커서이동키 QBasic WordStar

한 문자 왼쪽으로 왼쪽화살표 Ctrl+S
한 문자 오른쪽으로 오른쪽화살표 Ctrl+D
한 단어 왼쪽으로 Ctrl+왼쪽화살표 Ctrl+A
한 단어 오른쪽으로 Ctrl+오른쪽화살표 Ctrl+F
한 줄 위로 위화살표 Ctrl+E
한 줄 아래로 아래화살표 Ctrl+X
줄의 맨 앞으로 Home
현재 줄의 맨 앞으로 Ctrl+Q+S
다음 줄의 맨 앞으로 Ctrl+Enter Ctrl+J
줄의 끝으로 End Ctrl+Q+D
창의 제일 위로 Ctrl+Q+E
창의 제일 아래로 Ctrl+Q+X
다음창으로 F6
현재창의 크기를 늘임 Alt+Plus
현재창의 크기를 줄임 Alt+Minus

화면 이동키 QBasic WordStar

한 줄 위로 Ctrl+위화살표 Ctrl+W
한 줄 아래로 Ctrl+아래화살표 Ctrl+Z
한 화면 위로 PgUp Ctrl+R
한 화면 아래로 PgDn Ctrl+C
한 화면 왼쪽으로 Ctrl+PgUp
한 화면 오른쪽으로 Ctrl+PgDn
위치 표시하기(4개 까지 가능) Ctrl+K,0-3
표시한 위치로 이동 Ctrl+Q,0-3

텍스트 선택키 QBasic

왼쪽 문자 Shift+왼쪽화살표
오른쪽 문자 Shift+오른쪽화살표
왼쪽 단어 Shift+Ctrl+왼쪽화살표
오른쪽 단어 Shift+Ctrl+오른쪽화살표
현재 줄 Shift+아래화살표
윗 줄 Shift+위화살표
윗 화면 Shift+PgUp
아래 화면 Shift+PgDn
파일 시작 Shift+Ctrl+Home
파일 끝 Shift+Ctrl+End

삽입과 복사키 QBasic WordStar

삽입 모드를 On/Off Ins Ctrl+V
선택한 텍스트를 버퍼로 복사 Ctrl+Ins
선택한 텍스트를 지우고 버퍼로 복사 Shift+Del
현재 줄을 지우고 버퍼로 복사 Ctrl+Y
윗 줄을 지우고 버퍼로 복사 Ctrl+Q,Y
버퍼의 내용을 붙여넣음 Shift+Ins
커서 아래에 공백줄을 삽입 End,Enter
커서 위에 공백줄을 삽입 Home,Ctrl+N
특수문자 삽입 Ctrl+P,Ctrl+key
특수문자 삽입 Ctrl+P,Ctrl+key

삭제키 QBasic WordStar

커서의 왼쪽 문자를 삭제 Backspace Ctrl+H
커서에 있는 문자를 삭제 Del Ctrl+G
커서에 있는 단어를 삭제 Ctrl+T
선택한 텍스트를 삭제 Del Ctrl+G
선택한 줄에서 앞 부분의 공백을 삭제 Shift+Tab


[ MS-DOS - QBasic ] 키조작 단축키



< C/목차 > < I/색인 > < B/이전화면 >
키조작

< K/단축키 >

 선택키    삭제키  
문자/줄 Shift+화살표 현재줄 Ctrl+Y
단어 Shift+Ctrl+화살표 현재줄 끝까지 Ctrl+Q,Y
 선택한 텍스트를 버퍼로 Shift+Del
 삽입키   이동
삽입/겹쳐쓰기 모드 Ins 선택한 텍스트를 지움 Del
위에 공백줄 Home,Ctrl+N 
아래에 공백줄 End+Enter  복사키  
버퍼로부터 Shift+Ins 버퍼로 저장 Ctrl+Ins
 
 찾아보기키    디버깅키  
텍스트 찾아보기 Ctrl+Q,F 출력화면 보기 F4
반복 찾아보기 F3 계속 실행 F5
  커서 위치까지 실행 F7
 도움말키   중단점 전환 F9
도움말에 관하여 Shift+F1 한 단계씩 F8
항목에 관한 도움말 F1 프로시져 단위로 F10
  


[ MS-DOS - QBasic ] 구문 표기법

< S/구문 표기법 >


중심어 대문자로 표기된 항목은 QBasic의 중심어를 표시합니다.
중심어는 사각괄호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면 프로그램
작성시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중심어를 입력할 때
철자를 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항목 소문자로 이루어진 항목들은 명령문에서 지정해야 하며
특정한 데이터형을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를 사용합니다.
어떤 항목이 하나 이상의 데이터형을 나타내기위해 사용
될 경우에는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선택 항목] 사각괄호([])로 둘러싸인 항목은 반드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선택1 | 선택2} 중괄호({})와 세로막대(|)는 2개 이상의 항목 중에서 1개
를 선택할 수 있음을 표시합니다. 중괄호가 사각괄호에
둘러싸여 있지 않으면 반드시 항목중 1개를 선택해야
합니다.

항목, 항목, ... 1줄의 명령문안에서 동일한 형식의 항목을 여러개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심어 여러 줄의 명령문(또는 블록형식의 명령문)에서 사용
. 합니다. 블록의 맨 앞과 끝 사이에 다른 명령문들을
. 둘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END 중심어

[ MS-DOS - QBasic ] 메뉴와 명령 사용법

< M/메뉴와 명령 사용법 >


메뉴나 명령을 선택하려면 화면의 가장 윗쪽에 있는 메뉴막대를 이용합니다.

목적 마우스조작 키조작
  
메뉴를 풀다운한다. 마우스 커서를 메뉴명 위로 Alt키를 눌렀다가 뗀 후,
옮긴후 마우스의 왼쪽 단추를 반전표시된 메뉴명의
누릅니다. 문자를 누릅니다.

명령을 실행한다. 마우스 커서를 명령 위로 명령의 선두에 있는
옮긴 후, 왼쪽 단추를 반전표시된 문자를
누릅니다. 누릅니다.


참조: 현재 진행 중인 작업에 대한 도움말을 얻으려면 화면 밑에 있는 참조막대의
항목을 누릅니다.

[ MS-DOS - QBasic ] QBasic 입문


< C/목차 > < I/색인 > < B/이전화면 >

< H/도움말에 관하여 >

QBasic 도움말에 관하여:

* 중심어에 대한 도움말을 보려면, 중심어 위로 커서를 옮기고 F1키를
누르거나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릅니다.

* QBasic의 명령문, 메뉴 항목 또는 대화상자 등에 대한 도움말을 참조
하려면, 원하는 항목이나 < 도움말 > 위로 커서를 옮긴후 F1키를 누릅니다.

* Alt+H키를 눌러서 < H/도움말 > 메뉴를 선택한 후, 명령 앞에 반전
표시된 문자를 누르면 < H/도움말 > 메뉴에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Shift+F6키를 누르면, 커서가 도움말창 안으로 옮겨집니다.

* 도움말 화면을 스크롤하려면, PgDn 또는 PgUp키를 누릅니다.



* 도움말창에 표시된 프로그램 예를 복사하여 편집창에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 도움말창을 닫으려면, Esc키를 누릅니다.

도움말창에서 반전표시된 두개의 삼각괄호(< >)로 둘러 쌓인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Tab키나 각 항목의 첫 영문자를 누르면 원하는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원하는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얻고자 하면, 그 위로 커서를 옮긴
후 F1키나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릅니다.

QBasic은 지금까지 참조한 도움말을 20개까지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
들을 다시 한 번 참조하고 싶을 때에는 Alt+F1키나 < B/이전화면 > 키를
누릅니다.

[ MS-DOS - QBasic ] 화면

MS-DOS QBasic Ver 1.1
http://kldp.org/node/63309



종류
------------------------------------------------------

BasicA(Advanced Basic),..기타등등
------------------------------------------------------

MS-Basic
GW-Basic,Quick Basic,Q-Basic,Visual Basic,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VBA),Visual Basic Scripting Edition (VBScript / VBS),VisualBasic.Net

http://mwultong.blogspot.com/2007/09/basic.html
------------------------------------------------------





F/파일 E/편집 V/창 S/검색 R/수행 D/디버그 O/옵션 H / 도움말
 도움말:목차 
< C/목차 > < I/색인 > < B/이전화면 >


 QBasic 입문   키조작 
< H/도움말에 관하여> < K/단축키 >
< M/메뉴와 명령 사용법> < E/편집을 위한 키조작 >
< D/대화상자 사용법> < F/검색의 키조작 >
< S/구문 표기법 > < D/디버그 키조작 >
< H/도움말 키조작 >


 QBasic에 대하여   참조사항 
< QBasic 명령 > < ASCII 문자표 >
< BASIC 사용문자 > < K/키보드스캔코드표 >
< O/목적별 중심어 목록 > < R/실행시간 오류코드 >
< QBasic의 제한사항 > < C/저작권및 등록상표 >
< P/이전 버젼과의 차이 >
< BASICA 프로그램 바꾸기 >
< M/보다 강력하려면 >

 QBASIC.TXT 
 실행창 
< Shift+F1=도움말 > < F6=창이동 > < Esc=취소 > < Ctrl+F1=다음 > < Alt+F1=이전 >





팔로어

프로필

내 사진
심심해서 만들어봐요. .xp,2003,vista,win7/ .server,client,suNet/ .bbs,suNetProtocol/